Yiksan0315's Blog

Laplace's Rule of Succession

  • or
  • 라플라스의 후속 규칙

# Tag:


Laplace's Rule of Succession(라플라스의 휴속 규칙)

내일 해가 뜰 확률은 얼마인가?

최근 연속 일 동안 연속으로 해가 떴다면, 내일 해가 뜰 확률은 얼마인가?
해가 뜰 확률은 미지수이다.

해가 뜰 확률이, 미지수 라고 할 때 각각의 해가 뜰 확률은 이다. 가 주어졌다고 했을 때 각각 조건부 독립이다.

베이지안 입장에서 미지수라는 불확실성을 분포로써 보아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확률 변수로 보며, 의 증거가 주어질 때 의 분포가 무엇인지 구할 수 있다.

라플라스는 완전한 불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균등 분포로 뒀다. ⇒ : as Prior for Bayesian

Solve

  1. 가 주어진다고 했을 때, 는 조건부 독립에 의해 : 가 주어졌을 때의 분포.
  2. posterior, 즉 증거가 수집되고 난 후의 사후 분포는 . 즉, 를 각각 관찰함으로써 얻어 낼 수 있는 의 분포.
  3. 연속 일 동안 해가 떴을 때, 즉 라는 조건 하에 내일 해가 뜰 확률은 : 구하고자 하는 확률.

조건부 확률밀도함수 에 대해

⇒ 지난 일 만큼만 해가 떳다면, 그에 대해 해가 뜰 확률에 대한 믿음을 어떻게 갱신할 지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확률밀도함수 자체는 확률이 아니지만, 미소 증분을 곱하면 그에 대해서 그 확률이 정해지므로 확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계산.

이 때, Prior은 정규 균등분포이므로 , 그리고 부분은 와 무관하므로 일종의 상수 취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항 분포에서 와 무관한 상수인 을 제외한 에 비례한다.

매일 해가 연속 일 동안 떴으므로, . 는 상수인데, 에 대해서 0부터 1까지 적분했을때 그 값이 1이어야 하므로,

마지막으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을, 관측을 바탕으로 추정해야 하므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예상되는 값인 기대값으로 구한다.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